投机取巧(tóu jī qǔ qiǎo)
기회를 틈타 교묘하게 사리사욕을 취하다
관련 고사
儒家经典里有个故事,孔子的弟子看见一个老头抱着瓮去汲水,弟子好心告诉他用桔槔这种机械可以省力,老头说我知道有这种投机取巧的东西我就是不用,用投机取巧的东西就会有投机取巧的心,孔子称赞说老头是贤人.
这种机械的技术存在的根据,就在于产业社会人们的基本态度,其实也就是子贡的态度,即以最小的费用收到最大限度的效果(用力甚寡而见功多)的经济原则。子贡看来,耕耘的老人并未遵循经济原则。可是,对于子贡的劝告,老人回答说,自身并不是不知道机械,而是忧患以机械惹起机心,所以不使用桔槔,如果这种思想占据统治地位后,必然对科学发展造成阻碍。
유가 경전에 하나의 고사가 있다. 공자의 제자는 한 늙은이가 바가지로 물을 퍼 올리는 것을 보았다. 제자는 좋은 마음으로 그에게 두레박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면 힘을 아낄 수 있다고 알려 주었다. 늙은이가 말하길 "나도 알지만 노동의 대가 없이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그런 물건을 사용하지 않을 뿐이네. 노력하지 않고 이득을 취하게 하는 물건은 곧 그런 마음을 갖게 한다네." 라고 말 하였다. 공자는 그 노인을 현인이라고 칭찬하였다.
이런 기술의 존재로 산업사회에서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다는 자공의 태도를 갖게 된다. (힘은 적게 쓰지만 결과는 많게 보인다). 하지만 노인이 "나는 기계를 모를 뿐더러 기계하는 것이 교활한 마음을 갖게 할까 염려된다. 때문에 사용하지 두레박을 사용하지 않는다."라는 말에 대해 그러한 생각이 지배적이게 되면 과학 발전에 장애물이 될 것이다라고 자공은 말하였다.
子贡[ zǐgòng ]
자공. 공문 십철의 한 사람으로, 중국 춘추시대의 학자. 위나라 사람. 성은 단목. 이름은 사. 자공은 그의 자. 정치에 뛰어나, 후에 노나라ㆍ위나라의 재상이 되었음. 제자 중에서 제일가는 부자였으므로 경제면에서 공자를 도왔다고 함.
- 비슷한 성어
- 상반된 성어
예문
学习要勤奋刻苦,踏踏实实,不能靠投机取巧取得成功
공부는 성실히 부지런히 해야한다. 노력하지 않고 요행으로 목적을 달성하는 식의 성공에 기대서는 안된다.
하루 하나씩, 느려도 괜찮아요
이 포스팅에 만족하시면 공감 꾹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
궁금한 점 댓글 달아주세요 언제나 환영입니다
'배움_중국어 > 중국어 성어에 관련된 고사, 유의어, 반의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吹灰之力 - 매우 작은 힘 (0) | 2016.11.16 |
---|---|
巧妇难为无米之炊- 아무리 능력있는 사람도 객관적인 조건이 조성되지 않으면 일을 잘 하기 어렵다 (0) | 2016.11.15 |
吃得苦中苦,方为人上人 - 고생을 해 봐야 뛰어난 사람이 된다 (0) | 2016.11.13 |
广开言路 - 누구나 다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게 하다 (0) | 2016.11.12 |
见多识广 - 보고 들은 것이 많고 식견이 넓다 (0) | 2016.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