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동안 1억 만들기/오늘의 공부

[일일 경제지표 &뉴욕마감기사] 2022.09.01 - 환율 ↓ / 유가↓ / 다우지수 ↓/

PROJECT-B 2022. 9. 1. 10:26
반응형

최근 경제 지표

1. 경제 지표

  • 금리 : 2.5% / 미국 금리 2.25~2.50%
  • 환율 : 1,345 (0.41% )
  • 유가 : $88.85 / WTI (3.71% )
  • 코스피 : 2,472.05 (0.86% )
  • 다우지수 : 31,510.43 (0.88% )
  • S&P 500 : 3,955.0 (0.78%)

*주가 : 전일 종가 기준

2. 뉴욕 마감

  • 뉴욕증시 3대 지수는 8월 동안 각각 4% 이상 내리며 동반 약세를 기록

  • 기준금리가 내년 초까지 4%를 넘어설 것으로 보임 - 클리브랜드 연은 총재
    기준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도 상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국제 유가 하락, 금 가격 하락, 달러화 약세

3. 경제 도서 읽기

경제 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 - 507~509P

 %와 %포인트
% : 수량으로 표시할 수 있는 현상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변화율 지표
%포인트 : % 값 간의 차이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
예) 2021년 실업률이 2%였는데 올해 실업율은 4%이다. 올해 실업율은 지난해에 비해 얼마나 늘어났는가?
->3%포인트 증가(퍼센트 값간의 차이) 또는 100% 증가 (퍼센트 값 간의 변화율)

...%와 %P값 간의 차이를 모르면 통계치가 보여주는 절대값 수치만 보고 통계가 전하는 사실을 오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업률이 100% 높아졌다'고 들으면 ' 3%P 높아졌다' 고 들을 떄보다 실업률이 크게 들었다는 느낌이 들 수 있다. 

4. 코멘트

정보를 분별 하려면 그 뜻에 대해 명확히 구분 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언론에서 악의적으로 정부를 비판하게 하기 위해 '실업률이 XXX% 증가했다'라고 말한다면 우리는 그 수치가 의미하는 정확한 사실을 확인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XXX%라는 수치만 그대로 받아들일 수가 있는 것이다. 이게 0.3%P만큼 증가 한 것일수도 있고 0.015%p 증가 한것일수도 있지 않은가. 

1. 언론이 우리를 속이려고 하는지 잘 분별하기 

2. 그렇기 위해서는 해당 정보의 의미를 잘 파악하기 


  • 경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 잘못된 정보나 보충하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블로그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