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동안 1억 만들기/오늘의 공부

[22.09.20 뉴욕 마감 기사] FOMC 회의를 앞둔 경계감에 장중 등락을 반복한 증시 / 또 한번의 빅스텝?

PROJECT-B 2022. 9. 20. 16:38
반응형

2022.09.20 경제지표
2022.09.20 경제지표

1. 경제 지표

  • 금리 : 2.5% / 미국 금리 2.25~2.50%
  • 환율 : 1,394.0 (0.01% )
  • 유가 : $85.73 / WTI (0.73% )
  • 코스피 : 2,355.66 (0.88% )
  • 다우지수 : 31,019.68 (0.64% )
  • S&P 500 : 3,899.89 (0.69%)

*주가 : 전일 종가 기준


2. 뉴욕 마감

  • 이날 주요 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9월 FOMC 회의를 앞둔 경계감에 장중 등락을 반복하며 불안한 흐름을 보이다 소폭 상승 마감
  •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대한 우려로 위험자산인 비트코인 가격도 뉴욕 증시 개장 전에 5% 이상 하락하며 1만9000달러를 밑돌음 > 연준의 공격적 금리 인상이 결국 위험자산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음
  •  경기 침체 경고를 보냈던 페덱스 주가는 이날 1.76%로 마감 / 금리 인상 가능성에 금융주 강세(뱅크오브아메리카와 JP모건 주가는 각각 1.70%, 0.93% 상승했다. 웰스파고(0.86%)와 씨티그룹(0.29%) 주가 상승)

3. 경제 도서 읽기

경제지표 정독법 - 121P

 한국에서 수출은 GDP의 절반 가까운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한국의 지역별 수출 동향을 장기적으로 관찰해보면 미국 비중이 크게 줄어든 반면 중국 비중이 대폭 증가했다. 

한국 무역 수지는 중국과 미국에서 대규모 흑자, 일본과 중동에서 적자를 기록하는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가 수출에 비중이 높은줄은 알았지만 GDP의 절반 가까이나 되는 줄은 몰랐다. 이렇기 때문에 외교에 있어서 중국이나 미국에서 이슈가 발생했을때 함부로 조치를 못하는것이다. 수출의 다변화가 가장 좋은데 이게 참 쉽지 않겠지. 

 

또한 일본에서는 반도체, 중동에서는 원유등 원자재를 수입하는 나라에 대해서는 거의 매번 적자를 기록한다.


4. 코멘트

연준의 9월 금리 상승이 예견된 가운데 주가도 바쁘게 움직이는 모양새이다. 또 한번의 빅스텝이 물론 시장에 영향을 주겠지만 한편으로는 '이미 예고된, 예견된' 리스크이기 때문에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게 될지 궁금하다. 

당일의 장은 출렁이겠지만 언제나 그렇듯 다시 조금씩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안정세를 찾을테니 말이다. 

예정된 날짜가 9월 20 - 21일이니 내일 뚜껑을 열어보면 되겠지? 


  • 경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 잘못된 정보나 보충하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블로그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