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동안 1억 만들기/오늘의 공부

[23.01.16 경제 공부] 뉴욕 마감 / 인플레 완화 기대감에 뉴욕 증시 상승 마감

PROJECT-B 2023. 1. 16. 15:37
반응형

1. 경제 지표

2023.01.16 주요 경제지표
2023.01.16 주요 경제지표

*주가 : 전일 종가 기준


2. 뉴욕 마감

  • 인플레이션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 속에서 뉴욕증시가 상승 마감
    → 은행들의 실적은 증시에 부담을 줬지만, 시장이 어느 정도 예상됐던 부정적인 소식들을 무시하는 것처럼 보이면서 투자심리가 반전
    →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0%로 전월의 4.4%에서 추가 하락

  • 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가 전월보다 크게 개선된 점은 투자 심리를 개선
     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64.6으로 잠정 집계돼 12월 기록한 확정치 59.7에서 높아짐
     이날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60.7도 웃돔
  • &P500지수 내 부동산, 유틸리티, 산업 관련주를 제외하고 8개 업종이 상승

*** 미국 금융 시장은 다음 주 16일 '마틴 루서 킹 주니어의 날'을 맞아 휴장


3. 경제 이슈

시장과 연준의 시각 차이 여전히 존재
시장은 인플레이션이 막바지에 진입했다며 기대를 갖는데 연준은 높은 고용지표를 근거로 아직 기대를 갖기에는 이르다 언급
연준이 주목하는 실업자 1명당 구인건수 배율은 전월과 동일한 1.7로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이전 수준(1.2배)을 크게 상회

https://www.yna.co.kr/view/AKR20230105002100072

 

美 실업자 1명당 빈 일자리 1.7개…여전히 뜨거운 노동시장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미 노동시장은 여전히 과열 상태인 것으로 나...

www.yna.co.kr


4. 코멘트

요즘은 시장과 연준의 기대가 엇갈리고 있다. 이럴때일수록 제테크/투자에 관한 자신의 기준이 더욱 더 필요하다. 

지난 12일 발표된 소비자 물가 지수는 시장이 기대한 대로 2년 반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이로 인해 시장은 더 흥분한 모습이다. 이번 수치는 연준의 2월 금리인상폭에 대한 의문을 확실히 해소해 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 경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 잘못된 정보나 보충하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블로그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