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동안 1억 만들기/오늘의 공부
[23.02.09 경제 공부] 뉴욕 마감 / 청개구리처럼 행동하는 증시 시장
PROJECT-B
2023. 2. 9. 10:00
반응형
1. 경제 지표
*주가 : 전일 종가 기준
2. 뉴욕 마감
- 크리스토퍼 윌러 연준 이사의 매파적 발언과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주시
성장주에 대한 기대냐, 금리의 추가적 인상으로 인한 경기 연착륙이냐를 두고 투자가들이 치열하게 눈치를 보며 횡보장세를 연출
미국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8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 연준 인사들 `매파 모드로 포지션 변경
"높은 인플레이션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낮은 수준으로 회복하려면 향후 몇 년간 제한적인 금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
시장이 예상하는 것보다 더 높이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 이사) - 구글 모회사 알파벳 주가는 전날보다 7.4% 이상 급락하며 마감했다. 장중에는 5거래일 만에 100달러 아래로 하락
3. 경제 이슈
화물 연대 파업 -> 화주의 부담을 줄여주는 방식으로 결론
기존 안전 운임제는 운임 지급 과정에서 운송사, 화물 노동자에게 일정 금액 이상을 지급하도록 하는 제도
바뀐 표준 운임제하에서는 화주가 운송사에게 운임을 자유롭게 줄 수 있음
표준 운임제도 일몰제로 시행 할 계획
국도부 : 화물 운송 지입 전문 회사 퇴출, 표준 운임제 도입
국토부 "화물운송 지입전문회사 퇴출, 표준운임제 도입"
정부가 지난해 말 화물연대 파업을 계기로 불거진 안전운임제와 지입제, 열악한 화물차주 여건 등 화물운송산업계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6일 당정 합동브리핑에서 '화물운송산업 정상
www.nocutnews.co.kr
4. 코멘트
- 전날 파월의 '금리 인상 가능성' 발언에도 시장은 상승 했지만 하루만에 속도 조절에 들어감. 역시 증시는 과학이 아니라 감정이고 인간 심리게임 임을 확인
- 연준인사들의 연일 매파적인 발언이 이어졌는데 아마도 전날 파월의 매파적 발언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파월의 발언을 비둘기적 발언으로 해석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
-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 함께 배우며 성장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