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년동안 1억 만들기/오늘의 공부

[카카오뷰 시리즈] 1.카카오뷰란 무엇일까? / 블로그를 하고 있다면 지금 카카오 뷰!

by PROJECT-B 2022. 9. 27.
반응형

 

 

 

 

 

티스토리를 하는 사람이라면 지난해부터 자연스레 관심을 가지게 되는 플랫폼이 있을 것이다. 

바로 카카오뷰이다. 

기존의 플랫폼들이랑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다른 카카오 뷰. 사람들은 거기서 이미 발행한 내 컨텐츠로 새로운 수익을 얻기도 한다. 

이미 나만의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것을 가지고 또 다른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다면 훨씬 좋지 않을까? 

그래서 카카오 뷰 관련 시리즈물을 연재 해 보기로 했다. 카카오 뷰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천천히 따라하면서 함께 성장 해 보도록 하자.

목차
1. 카카오 뷰란 무엇일까
2. 카카오 뷰가 과연 나에게 이득이 될까?
3. 블로그를 하고 있다면 지금 카카오 뷰를 시작하자. 

[카카오뷰 시리즈] 1.카카오뷰란 무엇일까? / 블로그를 하고 있다면 지금 카카오 뷰!


카카오 뷰란?
카카오 뷰란? / 출처 : 카카오뷰

1. 카카오 뷰란 무엇일까

한마디로 하면 "다양한 시선을 담은 큐레이션 서비스" 이다. 여기에 다양한 시선은 큐레이션 하는 개인의 관점이 들어간다. 개개인이 개개인의 취향으로 담아낸 큐레이션을 모아서 제공하는 서비스인 것이다. 

 

똑같은 맛집이라고 하더라도 내가 에디터가 되어  '내 기준 가성비 맛집'이라는 큐레이션으로 새롭게 모아서 보여 줄 수 있는 서비스가 되는 것이다. 

 

요약 : 내가 에디터가 되어 동영상, 글, 이미지 등 다양한 컨텐츠를 나의 시선으로 모아서 발행하는 서비스 


2. 카카오 뷰가 과연 나에게 이득이 될까?

'카카오 뷰가 과연 나에게 이득이 될까?' 라는 질문은 일단 내가 컨텐츠를 발행하는 '생산자'의 입장일때를 말하는 것이다. 단순히 컨텐츠를 소비하는 위치라면 상관 없지만 나와 이 글을 보는 사람들은 컨텐츠 및 다양한 수단을 통해 이익을 만들어 내려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이 카카오뷰라는 새로운 플랫폼이 생산자로서의 나에게 이득이 되는지를 먼저 따져 보게 된다. 

 

카카오 21년도 실적 발표 중 매출 영역
카카오 21년도 실적 발표 중 매출 영역

이를 알기 위해선 현재 카카오 내에서 카카오 뷰의 입지가 어느 정도 되는지를 보면 된다. 

실제로 지난 해 4분기 카카오뷰가 런칭 한 시점 이후의 플랫폼 부분 매출이 크게 증가 했음을 알 수 있다. 

각 영역의 매출액 대비 %
각 영역의 매출액 대비  %

 

비중 면에서도 보면 카카오의 전체 매출에서 카카오 뷰 서비스가 있는 톡비즈의 매출이 거의 30% 정도 차지한다. 여기에 더해 카카오는 점점 더  톡 비즈와 포털 비즈를 활성화 시키려고 한다. 업데이트 된 카카오톡 하단 메뉴에 카카오뷰탭이 정 중앙을 차지한것도 이와 같은 이유가 아닐까. 

 

카카오 같은 대기업이 밀고 있는 플랫폼이라면, 더군다나 런칭한지 1년 남짓 되어  마케팅에 힘쓰는 중이라면 지금이라도 그 파도에 올라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3. 블로그를 하고 있다면 지금 카카오 뷰를 시작하자. 

사실 카카오뷰는 내가 직접 컨텐츠를 생산하고 있지 않더라도 다른사람의 글, 컨텐츠 등을 내 취향대로 보드에 모아 발행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컨텐츠 생산자가 카카오 뷰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 해 보려 한다. 

 

 2022년 급 부상중인 플랫폼

카카오 뷰의 21년 4분기 성장률, 2022년 상반기 성장률을 보면 엄청나게 성장했음을 알 수 있다. 런칭한지 얼마 되지 않은 서비스임에도 '카카오뷰'에 대한 검색량이나 컨텐츠도 상당한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급 부상중인 플랫폼에 올라 타 우리도 우리의 컨텐츠를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잡아야 하는 것이다. 

 

초기 선점 효과를 통한 빠른 성장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카카오 뷰는 런칭하고 이제 막 1년이 넘은 서비스이다. 물론 지금도 많은 이용자들이 이미 들어 가 있지만 앞으로의 시간에 비해 1~2년 정도(길다면 3년) 까지는 초기 시장이라고 봐도 괜찮지 않을까. 초기 시장에 들어가 선점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있다. 

초기 시장은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기가 수월하다. 

네이버 블로그도 그렇고 유튜브도 그렇고, 페이스북 페이지도 그렇고 시장이 포화 되기 전에는 지금보다 쉽게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을 수 있었다. 컨텐츠 수요자에 비해 생산자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나의 경우를 예로 들자면, 한참 전,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 했을 당시에 시작하지도 얼마 되지 않았고 단순한 생활의 팁을 배워 적용하고 그게 좋아서 블로그에 포스팅 한 것 뿐이었는데 네이버 메인에 걸린 적이 있었다. 

 

이처럼 초기의 시장에 진입하여 내 컨텐츠를 충실하게 쌓아 가다 보면 알고리즘이 나를 선택 할 기회가 훨씬 많아 질 것이다.


오늘은  카카오 뷰가 무엇인지, 이 플랫폼이 컨텐츠 생산자인 나에게 과연 어떤 도움이 되는 플랫폼인지에 대해 알아 보았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카카오 뷰 채널을 개설하여 카카오 뷰 에디터가 되는 방법과 함께 초기 세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부탁드립니다. 
  • 함께 배우며 성장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