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년동안 1억 만들기/오늘의 공부

[22.12.14 경제 공부] 뉴욕 마감 /인플레 둔화 소식에 뉴욕 증시 일제 상승 & 원화 강세

by PROJECT-B 2022. 12. 14.
반응형

1. 경제 지표

2022.12.14 일일 경제지표
2022.12.14 일일 경제지표

*주가 : 전일 종가 기준


2. 뉴욕 마감

  •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큰 폭으로 둔화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 美 노동부가 발표한 11월 CPI가 전년동월대비 7.1% 상승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7.3%를 하회
    → 전월치 7.7% 상승에서도 큰 폭으로 낮아졌으며, 두 달 연속 7%대를 유지(주거 비용과 식료품 물가가 여전히 큰 폭으로 올랐으나, 에너지 가격 하락세가 이를 상당 부분 상쇄)

  • 美 국채금리는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
    → 10년물과 2년물 국채금리 격차는 마이너스폭이 축소

  • 여전이 인플레이션이 6~7%로 Fed 목표치인 2%를 크게 웃돌고 있는 가운데, Fed가 금리 인상폭을 낮추더라도 인플레이션에 있어 강경한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


3. 경제 이슈

테슬라 주가 하락으로 시총 5천억 달러가 무너짐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9월 말 이후 S&P 500 지수가 12% 상승한 것과 달리 테슬라는 같은 기간 40% 하락
외신은 트위터 인수 이후 불거진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 리스크가 테슬라 주가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진단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12140040 

 

머스크 영웅서 악당으로테슬라 주가 바닥 향해

테슬라 주가가 13일(현지시간) 추락하면서 이 회사의 시가총액이 장중 5천억 달러(649조 원) 아래로 무너졌다. 테슬라는 이날 뉴욕 증시에서 한때 6.5% 하락한 156.91달러를 기록했고, 시장가치도 2020

www.wowtv.co.kr


재건축 규제 완화 : 재건축 활성화를 통해 부동산 경기를 끌어올리려는 의도
예비안전진단→1차 정밀안전진단→2차 적정성 검토. 이를 모두 통과해야 재건축사업 진행 가능
이번 규제완화의 핵심인 구조안정성 평가는 ‘예비안전진단’에 포함
안전진단의 큰 걸림돌이던 구조안정성 항목의 비중을 20%p(50%→30%) 낮추는 게 핵심  
2차 적정성 검토 권한을 지자체에 넘. 지자체가 요청하면 받는 식으로 바뀌는데, 사실상 ‘폐지’ 수준이라는 평
 

재건축 문턱 확 낮춘다…구조 안전성 비율 50%→30%로

재건축 문턱 확 낮춘다구조 안전성 비율 50%→30%로 공공기관 검증도 사실상 폐지... 재건축 훈풍 부나

www.chosun.com


4. 코멘트

인플레이션율이 시장 기대보다 떨어졌다고 해서 시장 지수가 크게 올라갔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것은 인준이 목표하고 있는 인플레이션률은 2%대라는 것이다. (현재는 7%) 

 

이번 정부는 돈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정부라는게 너무 여실히 드러난다. 집값이 내려가는건 눈뜨고 못보겠는지 어떻게든 집값을 올리려고 노력을 한다.  전 정부에서는 집값을 못 잡는다고 욕을 해 대더니 왜 다시 그 자리로 돌려 놓으려고 하는것일까.  다른 요소도 아니고 안전성 비율을  확 낮춰 재건축을 쉽게 할 수 있게 한다고 하는데 이게 과연 어느 국민을 위해서일까. 

 


  • 경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 잘못된 정보나 보충하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블로그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