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경제 지표
*주가 : 전일 종가 기준
2. 뉴욕 마감
-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0.7% 상승, 2월 11일까지 주당 실업 수당 청구가 예기치 않게 감소로 동시장이 예상보다 훨씬 타이트하다는 것도 증명됨
지속적 인플레이션과 여전히 뜨거운 고용시장이 재확인되면서 금리인상 압박이 커져 이날 증시를 큰 폭으로 끌어 내림 -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의 제임스 불라드 총재는 오는 3월 회의에서 금리를 50bp(1bp=0.01%p) 인상할 가능성 언급
- 골드만은 특히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한 달 전에 비해 30bp 상승한 3.85%로 상승해 재정부담이 커졌고 정부의 카드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고 지적
3. 경제 이슈
올 봄 - 여름 사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계획
1/40 희석 방류, 철저한 성분 분석을 약속하지만 잘 이행될지 의문
10여년동안 여러 정부를 거치면서 이렇다할 대책이 없었으며 그나마 문재인 정권에서 일본 대사를 초치해 항의하고, 각 부처에 “국제해양재판소 제소(긴급 잠정조치 신청)를 검토하라”고 지시
주변국을 의식하지 않고 오염수 방류를 강행하는 일본과 이를 대놓고 지지하는 미국. 방류를 강력히 반대한다면서도 행동하지 않는 중국과 한국 정부의 방관적인 태도. 한편에선 이 같은 ‘이상한 조합’을 ‘원전 마피아’의 산물로 해석
https://www.khan.co.kr/world/japan/article/202302060830001
결국 방류되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정부, 사후 대책이라도 있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일본 정부는 지난 1월 13일 도쿄 총리...
m.khan.co.kr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079954.html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시 4~5년 뒤 제주해역 도달”
해양과기원·원자력연 공동 시뮬레이션 결과 “방류 4~5년 뒤 제주해역부터 도달하지만 해류영향으로 2년 뒤 일시적 유입 될수도” 유입 농도는 배경농도 100만분의 1 수준 삼중수소만 대상…다
www.hani.co.kr
-
-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 함께 배우며 성장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
반응형
'5년동안 1억 만들기 > 오늘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1.20 경제 공부] 뉴욕 마감 / 기준 금리 앞으로 3번 더 올라갈 수 있다고? (0) | 2023.02.23 |
---|---|
[23.02.22 경제 공부] 뉴욕 마감 /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연준 목표 2%을 한참 웃돌고 경제는 과열양상 (0) | 2023.02.22 |
[23.02.16 경제 공부] 뉴욕 마감 / 금리인상에도 버티는 미국 경제, 금리 결국 6%까지 가 (0) | 2023.02.16 |
[23.02.15 경제 공부] 뉴욕 마감 /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도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며 혼조세 (0) | 2023.02.15 |
[23.02.14 경제 공부] 뉴욕 마감 / CPI 지수 기다리며 상승 마 (0) | 2023.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