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년동안 1억 만들기/오늘의 공부

[일일 경제지표 &뉴욕마감기사] 2022.09.07 - 환율 ↑ / 유가↑ / 다우지수 ↓

by PROJECT-B 2022. 9. 7.
반응형

9월 경제 지표

1. 경제 지표

  • 금리 : 2.5% / 미국 금리 2.25~2.50%
  • 환율 : 1,384.00 (1.27% )
  • 유가 : $86.88 / WTI (0.01% )
  • 코스피 : 2,410.02 (0.26% )
  • 다우지수 : 31,145.3 (0.55% )
  • S&P 500 : 3,908.19 (0.41%)

*주가 : 전일 종가 기준

2. 뉴욕 마감

  • 유럽 에너지 위기 및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뉴욕증시가 하락
  • 국채 수익률 상승과 달러 강세는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시장을 압박
    - 시장 심리, 달러 강세, 채권 수익률 상승 등이 원인->주식에 대한 수요가 많지 않음 
    - 기술주가 궁극적으로 장기자산이라고 가정할 때 기술주와 장기채권 수익률 사이에는 역의 관계
  •  8월 ISM 서비스지수는 56.9를 기록, 시장 전망치 55.5를 뛰어넘음
    - 예상보다 강한 경제 수치

3. 경제 도서 읽기

자본주의 - 157P

 "금융기관이 활동 하고 있는 자본 시장에서는 딱 하나의 놀리가 제일 중요 합니다. 그것은 '돈의 놀리' 인거죠. 여기만큼 탐욕적인데가 있겠습니까. 당연히 금융기관은 탐욕을 부릴 수 밖에 없는 곳이고 텀욕적일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문제는 금융이라는게 어렵다는거에요. 금융 공학이라는 생소함때문에 마치 금융 공학자들 또는 금융 전문가들이 얘기하면 마치 그것이 진실이고 그것이 합법적인것이라고 우리가 오해를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우리가 금융 전문가라는 사람들의 말을 무조건 액면 그대로 믿을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금융 상품에 투자하고 그것으로 돈을 벌기 원한다면 우리도 공부를 해야하고 그것의 함정과 숨어있는 이면을 보기 위해 안목을 키워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금융 전문가'의 말에 속아, 또 당장 눈 앞에 제시되는 엄청난 이익에 속아 결국에는 많은 것을 잃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자본주의 - 186P

 불량 식품만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다. 불량 금융상품은 온 가족의 삶을 파괴하는 가정 파괴범이자 사회악이다. 그러니까 당당하게 요구해도 된다. 금융 상품 판매자들에게 '제대로 설명해 달라' '모르겠으니 다시 설명해 달라', '이 상품이 얼마나 위험한 상품인지 확실하게 알려다라'고 말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바로 그것이 본인의 선택이 가져올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가장 우선시 해야 할 중요한 원칙중의 하나이다. 우리는 스스로 자신을 지켜야 하기 때문이다. 

4. 코멘트

경제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좀 더 명확해지는 시간이었다. 그동안 은행은 나도 모르게 굉장히 정의로운 기관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나보다. 그들도 상품을 제공하는 하나의 이익 집단일 뿐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세일즈맨과는 또 다르게 그들이 팔고 있는 상품에 대해 (놀랍게도) 자세히 알지 못한다. 

 

금융 시장이 변동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게 침체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전 시기가 낮은 금리로 증시가 활발한 시기였다면 지금은 높은 금리로 채권 시장이 활발한 시기일 뿐이다. 경제는 순환하고 매 시기마다 강세인 시장이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자본주의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 경제 공부 하는데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금융 시장과 자본주의의 민낯을 보여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EBS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이고 책으로도 출판 되어 있으니 경제 공부를 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한번씩 읽어 보았으면 좋겠다. 

 

도서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COUPANG

www.coupang.com

"이 링크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유튜브 영상 


  • 경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 잘못된 정보나 보충하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블로그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