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년동안 1억 만들기/오늘의 공부

[23.01.12 경제 공부] 뉴욕 마감 / 비자물가지수(CPI)가 인플레이션이 냉각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뉴욕증시가 상승 마감

by PROJECT-B 2023. 1. 12.
반응형

1. 경제 지표

2023.01.12 주요 일일 경제 지표
2023.01.12 주요 일일 경제 지표

*주가 : 전일 종가 기준


2. 뉴욕 마감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인플레이션이 냉각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뉴욕증시가 상승 마감
    증시는 CPI 둔화에 베팅
  •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거래일 연속 상승
  • 볼빈 웰스매니지먼트 그룹의 지나 볼빈 대표는 "연준의 이번 금리인상 움직임이 막바지에 가까워질수록 기술주들은 반등에 나설 것"이라며 "기술주들은 지난해 크게 깨졌기 때문에, 저가매수에 나서려는 투자자들이 있다"고 언

3. 경제 이슈

 예금 금리 인하에 이어 대출 금리도 슬슬 인하
신한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 5% 후반대로 내려와
예금금리는 4%초반에서 3%후반대로 ‘뚝’
금융당국이 과도한 대출금리 인상을 억제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한 영향으로 분석
연 8%대 올라선 주택담보대출 상단 금리는 7%대로 떨어질 전망

https://www.mk.co.kr/news/economy/10601563

 

“우리도 지금 내려요”…신한 하나은행 이어 대출금리 인하 - 매일경제

우리은행 대출 금리 사실상 인하...최대 0.9%P 내려 신한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 5% 후반대로 내려와 예금금리는 4%초반에서 3%후반대로 ‘뚝’ 은행들 ‘이자 장사’로 성과급 잔치 논란

www.mk.co.kr

 

금융 통화 위원위 13일 정례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전망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올라가는 ‘베이비스텝’이 단행될 것으로 예상
높은 물가와 한·미 금리 역전에 대한 우려로 기준금리 인상 여력이 크다는 이유

https://biz.chosun.com/stock/stock_general/2023/01/11/J36T5O5JS5BHVD3QKQKIC5URC4/

 

채권 전문가 67% “1월 기준금리 베이비스텝 전망”

채권 전문가 67% 1월 기준금리 베이비스텝 전망

biz.chosun.com


4. 코멘트

내일 13일은 한국도, 미국도 변화가 좀 있지 않을까 예상한다. 일단 낮에는 한국에서 기준 금리 인상 여부가 정해 질 것이고 밤에는 미국의 CPI지수가 발표 때문이다. 일단 시장은 긍정적인 방향에 베팅을 했는데 과연 이 모험이 맞을지 아니면 허탈한 기대뿐이었을지 확인 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 경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 잘못된 정보나 보충하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블로그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