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경제 지표
*주가 : 전일 종가 기준
2. 뉴욕 마감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인플레이션이 냉각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뉴욕증시가 상승 마감
증시는 CPI 둔화에 베팅 -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거래일 연속 상승
- 볼빈 웰스매니지먼트 그룹의 지나 볼빈 대표는 "연준의 이번 금리인상 움직임이 막바지에 가까워질수록 기술주들은 반등에 나설 것"이라며 "기술주들은 지난해 크게 깨졌기 때문에, 저가매수에 나서려는 투자자들이 있다"고 언
3. 경제 이슈
예금 금리 인하에 이어 대출 금리도 슬슬 인하
신한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 5% 후반대로 내려와
예금금리는 4%초반에서 3%후반대로 ‘뚝’
금융당국이 과도한 대출금리 인상을 억제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한 영향으로 분석
연 8%대 올라선 주택담보대출 상단 금리는 7%대로 떨어질 전망
https://www.mk.co.kr/news/economy/10601563
“우리도 지금 내려요”…신한 하나은행 이어 대출금리 인하 - 매일경제
우리은행 대출 금리 사실상 인하...최대 0.9%P 내려 신한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 5% 후반대로 내려와 예금금리는 4%초반에서 3%후반대로 ‘뚝’ 은행들 ‘이자 장사’로 성과급 잔치 논란
www.mk.co.kr
금융 통화 위원위 13일 정례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전망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올라가는 ‘베이비스텝’이 단행될 것으로 예상
높은 물가와 한·미 금리 역전에 대한 우려로 기준금리 인상 여력이 크다는 이유
https://biz.chosun.com/stock/stock_general/2023/01/11/J36T5O5JS5BHVD3QKQKIC5URC4/
채권 전문가 67% “1월 기준금리 베이비스텝 전망”
채권 전문가 67% 1월 기준금리 베이비스텝 전망
biz.chosun.com
4. 코멘트
내일 13일은 한국도, 미국도 변화가 좀 있지 않을까 예상한다. 일단 낮에는 한국에서 기준 금리 인상 여부가 정해 질 것이고 밤에는 미국의 CPI지수가 발표 때문이다. 일단 시장은 긍정적인 방향에 베팅을 했는데 과연 이 모험이 맞을지 아니면 허탈한 기대뿐이었을지 확인 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 경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 잘못된 정보나 보충하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블로그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5년동안 1억 만들기 > 오늘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1.18 경제 공부] 뉴욕 마감 / 대형은행 엇갈린 실적에 혼조 - 다우 지수 5일만에 하락 (0) | 2023.01.18 |
---|---|
[23.01.16 경제 공부] 뉴욕 마감 / 인플레 완화 기대감에 뉴욕 증시 상승 마감 (0) | 2023.01.16 |
[22.01.11 경제 공부] 뉴욕 마감 /CPI 발표를 앞두고 소폭 상승 (0) | 2023.01.11 |
[23.01.10 경제 공부] 뉴욕 마감 /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 속에서 기술주들은 강세 (0) | 2023.01.11 |
[23.01.07경제 공부] 뉴욕 마감 / 12월 고용 보고서 결과에 뉴욕 증시 급등 (0) | 2023.01.07 |
댓글